기사상세페이지

일제 강제동원, 지워지면 안 되는 역사를 기록하다

기사입력 2020.08.15 11:05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제75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기억해야 할 사람들-강제동원, 김광렬 기록으로 말하다를 발간하였다.

     이 사진집은 고() 김광렬 선생이 국가기록원에 기증한 문서와 사진을 중심으로 기획되었다.

     김광렬(재일사학자, 19272015) : 후쿠오카 지쿠호(築豊) 일대를 중심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강제동원 관련 기록물을 수집·생산, 2,300여 권의 문서, 사진 등을 2017년 국가기록원에 기증

     김광렬 선생이 탄광 폐쇄, 도시개발 등으로 훼손되고 사라져가고 있는 하시마(군함도), 다카시마 등 조선인이 강제동원된 탄광의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며 남긴 기록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남겨진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의 유골함은 앞으로의 숙제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또한, 한평생 일제 강제동원의 진실을 알리고자 했던 진정한 기록인인 김광렬 선생의 노력을 통해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실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사진집은 크게 1김광렬 기록을 말하다’, 2강제동원의 흔적을 기록하다로 구성하였다.

     1부에서는 고() 김광렬 선생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강제동원의 현장을 다니며 작성한 기록의 의미와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다. 

     - 김광렬 선생40년간 작성한 일기장50여 년간 후쿠오카 지쿠호(築豊) 지역 300여 개의 사찰을 다니며 조선인유골, 위패 등을 조사한 조사기록을 수록하였으며, 사찰에 남겨진 유골함을 사진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부에서는 1970년대 이후 변해가는 강제동원 현장을 사진으로 보여준다.

     - 하시마·다카시마 탄광, 가이지마 탄광, 아소 광업의 강제동원 현장과 화장터, 위령탑 등이 훼손되어 가는

       안타까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진과 함께 사진 뒤에 적힌 김광렬 선생의 메모는 사진 속 현장을 좀 더 생동감 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하시마 해안절벽과 건물(1986, 앞면)>

    noname01.jpg

    noname02.jpg

    *하시마의 주위는 전면(4)이 콘크리트로 이렇게 깍아지른 듯이 서 있는 낭떠러지이다. 이 섬을 탈출하려는 자에게는 바다로 뛰어드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 그래서 행방불명. 그리고 어선 등에 구출되어 넘겨지면 반죽음을 맞았고, 어선은 상금을 받았다고 한다. (뒷면, 일어 번역)

     

    □ 이소연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사진집은 김광렬 선생이 기증한 방대한 기록을 1차 정리·해석한 것으로, 강제동원의 실체를 재구성하기 위한 먼 여정의 첫 걸음에 불과하다. 이 기록에 담겨진 역사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연구자가 참여하여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해 나가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억해야 할 사람들-강제동원, 김광렬 기록으로 말하다』는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을 통해서도 찾아볼 수 있다.

    noname02.jpg

    2.jpg

     

    기억해야 할 사람들-강제동원, 김광렬 기록으로 말하다

    표지

    noname3.jpg

    ※ (김광렬 일기장)197561일을 시작으로 2015810(2017작고)에 이르는 40년의 기억이 담겨 있다. 조선인 강제동원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현장을 찾아다니며 날짜별로 누구를 어디서 만났는지, 자료를 구하게 된 과정 등을 자세히 기록한 내용이 11811,673페이지에 이른다.

    noname01.jpg

     과거장씨명조사장(조선인탄광노동자유골조사장)* 과거장 : 절에서 죽은 신도들의 속명, 법명, 죽은 날짜 등을 기록한 명부

    김광렬이 50년간 찾아다닌 지쿠호지역의 300여개 사찰 조사장으로, 납골당 방문일자, 유골수, 안치된 조선인 이름, 사망연월일, 사인, 유골 소속 탄광 등을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noname01.jpg

     

    2.jpg

     

    noname03.jpg

    *일본인과 조선인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조선인 강제동원 노무자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는 희귀 자료이다.

     (명부는 고용연월일, 직명, 성명, 원적, 해고사유, 해고 연월일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가이지마 오노우라 6·7갱 탄광직원 명부>

     

    noname01.jpg재해사변보고첨부도(재해자 발견 당시 상황도)

     

    noname01.jpg

     

    noname02.jpg

     

    noname03.jpg서념사(西念寺) 과거장과 무연고 조선인 유골

     

    noname01.jpg폐허가 된 하시마 탄광주택(1986)

     

    noname01.jpg폐쇄 작업 중인 다카시마 탄광(1986년)

     

    noname01.jpg나카노시마 화장장에서 바라본 하시마(1988) * 하시마에서 사람이 죽으면 나카노시마에서 화장

     

    noname01.jpg나카노시마의 화장장(1988)

     

    noname01.jpg 가이지마 오노우라 6갱 노천갱 터 매립공사(1990)

     

    noname01.jpg 요시쿠마갱의 덕향추모비(1976)

    * 1936년 요시쿠마 탄광 화재사고로 희생된 광부들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추모비(조선인 25, 일본인 4명이 사망)

     

    noname01.jpg 요시쿠마갱에 남아있는 조선인 숙소(1976

    backward top home